내집짓기시공참고자료/전원주택정보

[스크랩] 나무심는 방법

[정선통나무펜션] 2010. 1. 2. 01:36

제2절 나무심는 방법

 

  1. 나무심는 시기

 

우리나라는 산림국가로서 국토의 65%를 산림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병해충 피해지 등 불량림이 많아 산림자원 조성을 위한 경제림 조성이 시급한 실정입니다. 나무심는 시기는 얼었던 땅이 녹는 이른 봄이 좋으며, 늦어도 묘목에 눈에 트기 전에는 심어야 합니다.

지역별로 나무심기 좋은 시기는


ㆍ남부지방 : 3월초순~3월하순
ㆍ중부지방 : 3월중순~4월초순
ㆍ북부지방 : 3월중순~4월하순입니다.

 


  2. 우리나라의 주요 조림수종

 

우리나라에서 자라고 있는 나무의 종류는 1,049종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중 바늘잎나무(침엽수)가 47종이고 넓은잎나무(활엽수)가 989종이며 대나무 등 단자엽 수종이 13종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이중에서지금까지 산림청에서는 산지의 조기 녹화와 자원화를 위하여 21대 경제수종을 선정하여 양적조림을 실시하여 오늘과 같은 푸른국토를 이룩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시대여건 변화에 따라 지역별 특성에 알맞은 수종을 용재수, 유실수 등 78대 조림수종을 1998년도에 새롭게 선정하여 권장하고 있는데 이들의 내용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78대 조림수종>


◇ 용재수종(23종) : 강종, 잣나무, 낙엽송, 가문비나무, 구상나무, 편백, 분비나무, 삼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버지니아소나무, 참나무류,

                              자작나무, 음나무, 피나무, 노각나무, 서어나무, 거제수나무, 가시나무, 박달나무, 이태리포플러,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황철나무

◇ 유실수종(4종) : 밤나무, 호두나무, 대추나무, 감나무

◇ 조경수종(20종) : 은행나무, 느티나무, 복자기, 마가목, 벚나무, 층층나무, 매자나무, 화살나무, 당단풍, 산딸나무, 쪽동백, 이팝나무,

                              채진목, 때죽나무, 가죽나무, 낙우송, 회화나무, 칠엽수, 향나무, 꽝꽝나무

 

◇ 특용수종(10종) : 옻나무, 다릅나무, 쉬나무, 두충나무, 두릅나무, 단풍나무, 고로쇠나무, (음나무), 느릅나무, 동백나무

◇ 내공해수종(12종) : 산벚나무, (때죽나무), 사스레피나무, 오리나무, 참죽나무, 벽오동, 곰솔, (은행나무), (참나무류), (가죽나무),

                                 가 마귀쪽나무, 버즘나무

 

◇ 내음수종(5종) : 주목, (서어나무), (음나무), 녹나무, 전나무

◇ 내화수종(4종) : 황벽나무, 굴참나무, 아왜나무, (동백나무)


※ (  )는 중복수종임

 

 

  3. 정리작업

 

나무를 심으려면 먼저 잡초와 관목을 베어 없애 나무를 잘 심을 수 있도록 정리작업부터 해야 합니다.

이 정리작업은 나무심기 전년도에 완료하는 것이 원칙이며 늦어도 그해 2월말까지는 끝내야 나무심기에 편리합니다.

 

  4. 묘목운반 임시심기(가식)

 

묘목장에서 옮겨온 묘목은 나무를 심을 때까지 운반이나 임시심기 시간을 최대한 단축해야 하며, 특히 뿌리가 햇볕에 쬐거나 건조 하지 않게 하며, 비를 맞거나 오래 쌓아두면 썩기 쉬우므로 조심하고, 묘목이 얼거나 어린순이 부러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5. 나무심는 요령

① 심을 나무의 크기에 맞게 구덩이를 조금 넉넉한 크기로 판 후, 겉흙과 속흙을 따로 모아놓고 돌, 낙엽등을 가려냅니다.

 

 


② 부드러운 겉흙을 먼저 넣은 다음 묘목의 뿌리를 잘펴서 곧게 세우고 겉흙부터 구덩이의 2/3되게 채웁니다.

 


③ 묘목을 살며시 위로 잡아당기면서 밟아줍니다.

 


④ 나머지 흙을 모아 주위 지면보다 약간 높게 정리한 후 수분이 증발되지 않도록 낙엽이나 풀 등으로 덮어줍니다.

 

 

 

산림청의 소리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이 되셨다면 VIEW를! 가 져가고 싶은 정보라면스크랩을! 나도 한 마디를 원하시면 댓글을!
여러분의 의견을 모아서 정책에 반영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출처 : 산림청 푸르미 블로그
글쓴이 : 산림청 원글보기
메모 :